이한동고문 자민련행 총선판도 예상

한나라당 이한동 고문의 자민련행과 국민회의 이인제 당무위원 향후 행보로 인해 경기·인천지역 총선 판도 변화가 예상되면서 ‘과연 중부권 맹주는 누가 되나’가 내년 4·13 총선의 새로운 관심사로 부상하고 있다.

이 고문은 그 동안 중부권의 맹주로 자임하며 한때 계보 현역 의원만도 20여명을 거느리고 있는데다 한나라당 대표위원을 지낸 상징성으로 인해 내년 총선에서의 적지않은 파괴력을 보일 것이라는게 일반적인 추측이다.

한나라당이 이 고문의 자민련행에 대해 거당적으로 의미 축소에 나서면서도 물밑으로 동반 탈당이 거명되는 의원들 접촉에 나선 것은 이 고문의 이같은 상징성을 반증하는 것이다.

따라서 K의원과 또 다른 K의원을 비롯 S, L, 또 다른 L, J 의원 등 10여명의 현역 의원과 J 전의원 등 원외위원장 4∼5명선으로 파악되고 있는 이들이 동반 탈당해 내년 총선에서도 당선된다면 이 고문은 중부권 맹주를 넘어서 ‘차기 대권’에 대한 야망도 품어볼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이 고문의 영향력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도 적지 않다.

실제로 한나라당 한 당직자는 “이 고문과 행동을 함께할 의원은 불과 1∼2명 선으로 파악됐다”며 “현상황에서 말을 갈아타고 내년 총선에서 당선을 자신하는 의원이 많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한편 국민회의 이인제 당무위원도 장고를 거듭하고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이 위원은 그 동안 ‘2여 1야’구도로는 총선 필패가 예상되는 만큼 합당을 전제로 김종필 총리의 아성인 대전이나 논산 출마를 통해 대권 도전까지 노린다는 계산이었으나 합당 불발로 총선 지역구에 대한 계획도 수정해야 할 형편이다.

이와관련, 이 위원의 측근은 ”이 위원이 내년 총선에서 안양, 안산, 군포, 시흥 등을 잇는 안양권 총선벨트를 구상했었다”고 언급,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같은 언급은 이 위원이 경기·인천지역에서의 영향력을 발휘하며 중부권 맹주로 부상하려 했다는 반증으로 풀이되면서 총선에 대한 궤도를 수정해 대권에 대한 새로운 계획을 세워야 한다는 것.

따라서 이 위원의 이같은 ‘카드’가 유력하게 떠오른다면 내년 총선에서는 중부권을 놓고 이한동 고문과 이인제 당무위원의 ‘한판 승부’가 불꽃을 튈 전망이다.

/이재규기자 jklee@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