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19년에는 전국 주요도시를 1∼2시간대에 연결하는 고속철도망과 어디서나 30분안에 접근할 수 있는 격자형 간선도로망이 갖춰진다.
정부는 16일 이같은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한 새 천년 국가종합교통체계의 청사진인 ‘국가기간교통망계획(2000~2019)’을 교통정책위원회(위원장 국무총리)의 심의를 거쳐 확정·발표했다.
우선 도로의 경우 자동차 2천만대 시대에 대비, 장기적으로 전국을 포괄하는 남북 7개축, 동서 9개축의 격자형 간선도로망을 구축하되 계획기간안에 양구∼부산간 남북 6축과 인천∼간성간 동서 1축을 제외한 남북 6개축, 동서 8개축의 격자형 간선도로망을 구축키로 했다.
철도의 경우 경부고속철도와 호남고속철도를 신설, 수도권과 주요 권역을 연결하는 X자형 한반도종단 고속철도망을 구축하고 통일이후에는 서울∼신의주축과 서울∼청진축을 신설키로 했다.
항공분야는 내년에 완공될 인천국제공항을 동북아 중심공항으로 개발, 미국·유럽행의 아시아지역 항공여객이 환승기지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인천신공항과 일본, 중국, 동남아 도시간의 셔틀서비스체계를 구축키로 했다.
또한 양양공항, 무안공항, 울진공항, 전주공항 등 권역별 지방공항을 확충·신설하고 근거리 커뮤터항공의 실용화를 위해 소형 경비행장 건설을 추진키로 했다.
항만 및 물류의 경우에도 부산항 및 광양항을 첨단시설을 갖춘 차세대형 대형항만으로 집중 개발해 동북아 중추항만으로 육성하고 포항영일만신항, 울산신항, 목포신외항, 보령신항, 인천북항, 평택항, 새만금항, 동해권신항 등을 신설키로 했다.
남북 및 대륙연계교통망 구축을 위해 단절된 6개 국도노선을 남측 구간부터 연결·복원해 남북 7개축과 북한의 6개축을 단계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장기적으로 아시아 고속도로망과 연결키로 했다./이재규기자 jklee@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