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당 연내 매듭발언 자민련에 합당손짓

지난 14일 김대중대통령의 ‘연내합당 매듭’발언으로 2여간 합당문제가 공론화되자 국민회의도 자민련에 ‘합당손짓’을 보내고 있다.

사실상 내년 4.13총선승리를 위해서는 합당 이외에는“백약이 무효하다”는 의식이 팽배해 있기 때문이다.

국민회의는 16일 고위당직자회의에서 이같은 뜻을 우회적이지만, 간곡히 표현했다.

지난 대선에서 DJT 3자 연대로 50년만에 수평적 정권교체를 이뤄낸 만큼 내년 총선에서도 공고한 3자 연대를 통해 과반수 안정의석을 확보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3자 연대방식과 관련 합당이나 연합공천이 될 수도 있지만, 역시 합당 만큼 확실한 ‘묘수’는 없다는 뜻을 피력했다.

그러나 전날 자민련 당무회의에서 김대통령과 국민회의 이만섭총재권한대행의 ‘합당조기매듭’ 발언에 대한 강력한 성토가 있었다는 점을 의식, “합당문제는 전적으로 자민련이 결정내려야 할 것”이라며 한발 빼는 모습을 보였다.

이어 “그동안 우리당은 여야 공조의 틀위에서 자민련의 주장과 입장을 존중해왔다”면서 “합당문제에 대해서는 누구도 강요할 수 없다”고 배수진을 치기도 했다.

어쨌든 국민회의는 자민련 내부의 합당론자와 합당반대론자의 입장을 고려하면서도 우회적으로 적극적인‘합당의지’를 전달한 셈이다.

이같은 국민회의의 공식적인 ‘합당손짓’은 이미 물밑에서 상당한 의견접근을 보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을 낳고 있다.

물론 오는 21일 김종필총리의 남미순방 이후 합당문제가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이지만, 이미 그 이전부터 상당한 조율작업이 진행되고 있지 않느냐는 시각이다.

지난 15일 김총리를 수행중인 김용채비서실장이 “여권과 민주신당 일부에서 김총리의 신당총재론에 반대하는 상황에서 김총리는 합당에 응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언한 대목도 이를 반증해준다.

이는 김총리의 완곡한 ‘합당반대’의 뜻으로 비쳐지지만, 여권이나 민주신당 내부에서 ‘JP총재론’으로 가닥을 잡을 경우 합당도 가능하다는 것으로 들리기도 한다.

여기에 신당이 집단지도체제를 도입, 이미 김총리와 여권 핵심인사를 접촉한 것으로 알려진 한나라당 이한동고문의 대표최고위원설이 나도는 것이나 이고문이 김총리 귀국후 회동을 계획하고 있다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그러나 자민련 박철언부총재가 15일 “합당시 독자노선을 걷겠다”는 압박카드를 내걸었고, 영남권 출신인 김동주, 박구일의원이 17일부터 합당반대서명 작업을 본격화하는등 조직적 반발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여권내 합당논의가 순탄치만은 않을 전망이다.

/이민봉기자 mblee@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