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계의 대정부 투쟁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한국노총 경기·인천본부도 16일 ‘노정합의 사항 관철 총파업’ 결단식을 갖고 17일부터 총파업을 결의, 대정부 투쟁수위를 높이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노동계의 파업에 정당성이 없다며 법에 따라 강력히 대응할 방침이어서 노정간의 충돌이 우려된다.
한국노총 경기지역본부는 이날 수원시 장안구 노총회관에서 각 지역지부 지회장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총파업 결단식’을 갖고 17일 오후부터 4시간 경고총파업에 돌입하기로 결의했다.
이번 총파업에는 군포 유한킴벌리, 안양 대한페인트, 화성 한미약품, 성남 주택공사 등 102개 사업장에서 모두 3만여명이 참여한다.
경기본부는 또 1차 총파업 결행후 정부의 대응여부에 따라 오는 22까지 도내 국민회의 지구당사 항의방문 및 집회를 잇따라 개최하며 23일에는 2차 전면 총파업을 단행할 방침이다.
인천본부도 16일 인천시 남동구 구월동 본부건물 투쟁사무실에서 ‘총파업결단식’을 갖고 18일 오후부터 파업에 돌입키로 결의했다.
인천본부는 이날부터 한국전력 인천지사, 한양목재 등 인천지역 50여개 사업장 5천여명이 참여, 하루 4시간씩 부분 파업을 벌인 뒤 오는 23일부터는 전면파업에 들어갈 예정이다.
반면 정부는 이날 ‘한국노총 파업계획에 대한 정부입장’을 발표하고 한국노총의 이번 파업을 ‘근로조건에 의한 것이 아닌 정치적인 목적에 의한 불법행위’로 규정, 엄정히 대처할 방침이어서 노정간 마찰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노총 경기본부 관계자는 “주 40시간 노동제 시행과 전임자 임급지급 자율권 보장 등 5대 요구사항이 끝까지 관철되지 않을 경우 이번 총파업을 내년 총선투쟁으로 연결, 여당후보에 대한 전면적 낙선운동도 불사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류제홍기자 jhyou@kgib.co.kr 신동협기자 dhshin@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