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바람에 탈·불법행위가 활개를 치고 있다.
선거를 앞두고 고질적으로 되풀이 되는 증상이 벌써부터 고개를 들고 있지만 각 공공기관이 단속의 고삐를 늦추면서 이같은 악순환을 부채질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유흥가 밀집지역인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을 비롯 수원시내에는 기업형 포장마차가 급속도로 늘고 있다. 리어카나 트럭을 이용한 영업방식에서 아예 빈터를 점용해 대규모로 영업행위가 빚어지고 있다.
지난 7월 단속권한이 경찰에서 자치단체로 넘어간 노래방의 경우 불법영업이 최근 도를 넘어서고 있다.
안양시의 경우 지난 11월부터 관내 노래방에 대한 불법영업 단속에 나서 매달 평균 10여건의 단속실적을 올렸는데 이는 평상시 20여건의 단속실적에 비해 크게 준 수치다. 안양 1번가, 평촌 먹자골목에 위치한 노래방에서는 술판매는 예사고 손님이 원할 경우 부녀자까지 소개시켜주고 있는 실정이다. 일부 업소는 단란, 유흥주점으로 착각할 정도다.
성남, 평택, 용인시의 번화가 이면도로는 불법무단주차 차량이 즐비하게 늘어서 차량통행은 물론 주민 보행권마저 위협받고 있다. 또 불법광고물이 어지럽게 널려 있으나 단속의 손길은 미치지 않고 있다.
수원역전을 비롯한 다중집합장소에서는 평상시 같으면 경찰이 나서 기초질서위반 사범단속에 열을 올렸으나 지금은 손을 놓은 모습이다.
물가도 덩달아 올라 얼마전까지 8천원∼1만원에 판매되던 쇠고기(600g)가 2∼3천원오른 1만1천∼1만3천원에 판매되는등 일부 물가마져 들먹거리고 있는 실정이다.
시민 박모씨(35·안양시 동안구 범계동)는 “그동안 당국에서 IMF분위기 탓에 주민편의 위주의 행정력을 펼쳐왔으나 최근들어 경기회복세와 함께 총선 분위기마저 겹쳐 불법이 성행하고 있다”며 “선거철만 되면 고개를 드는 무질서한 사회질서를 바로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심규정기자 kjshim@kgib.co.kr 신동협기자 dhshin@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