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 신당총재론 제기 격론벌여

최근 여권 일각에서 ‘2여 합당설’과 함께 ‘JP신당총재론’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10일 열린 국민회의 총재단회의에서 이를 놓고 격론을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JP 신당총재론’은 공동여당간 합당후 신당을 창당하거나 신당창당후 ‘시너지 효과’를 최대한 살릴 수 있는 시점에서 합당, 내년 총선에서 과반수 이상의 의석을 확보해야 한다는 ‘절박감’에서 나온 것으로 풀이된다.

먼저 이만섭총재권한대행은 이날 회의에서 지난 8일 ‘JP 신당총재론’을 공개적으로 거론했던 김근태부총재를 겨냥, “개혁세력인지 보수세력인지 모르겠다”고 운을 뗐다.

이어 이대행은 “한 두사람에 의해 결정될 사안이 아니다”라면서 “신당총재에 대해서는 대의원의 의사에 따라 민주적으로 결정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물론 이대행의 이같은 발언을 두고 신당의 ‘민주성’을 강조하는 한편 ‘총재경선’문제와도 맥을 같이하고 있다고 바라볼 수 있지만, 그 이면에는 내년 1월20일 신당창당후 JP가 신당의 총재를 맡게될 경우 이대행 자신의 역할과 위상문제에 대한 불안감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냐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한화갑사무총장도 공동여당간 합당에는 긍정적이지만, 김부총재의 ‘JP신당총재론’에 대해서는 “개인적인 생각일뿐”이라고 일축했다.

한총장은 “김종필총리는 총리이기 때문에 자민련 명예총재로서도 당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면서 “그러나 신당에서 대통령이 총재를 맡지 않으면 여당을 어떻게 끌고 가겠느냐”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부총재는“내년 총선에서 안정의석 확보를 위해서는 (JP총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면서 “대통령은 명예총재나 상임고문도 가능하며, 대통령의 위치가 무엇이냐는 것은 별문제가 안된다”고 반박했다.

김부총재는 또 “단순히 DJP만으로 신당을 이끌어간다면 폭넓은 국민적 지지를 얻기 어려울 것”이라면서 “새로운 새력의 지도력이 가세해야 총선승리는 물론 21세기 신정치를 펼쳐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한편 신당 창당추진위 내에서도 ‘JP 신당총재론’을 놓고 ‘신당의 이미지에 걸맞지 않는 인물’이라는 이유로 개혁성향의 인사들이 반대입장을 표명하고 있어 공동여당간 합당이 이뤄진다 하더라도 이 문제는 신당의 ‘뜨거운 감자’로 남을 전망이다.

/이민봉기자 mblee@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