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7일 김대중 대통령과 김종필 총리의 전날 회동을 합당을 위한 ‘전주곡’으로 받아들이며 향후 여권의 정치지형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특히 한나라당은 지난 97년 대선을 앞두고 당시 김대중 국민회의 총재가 김종필자민련 총재의 청구동 자택을 방문, 대선 후보단일화 문제를 타결지은 사실을 김 대통령이 이날 총리공관을 직접 방문한 사건에 대입, 이번에는 ‘2여 합당’의 수순밟기에 들어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부영 총무는 “김 대통령이 김 총리의 사퇴시기를 늦춘 것은 합당에 따른 신당과 국민회의 내부의 반발을 무마하는데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며 ‘DJP 회동’의 종착점을 합당으로 풀이했다.
한나라당은 ‘2여 합당’이 실현될 경우, 내년 총선에서 상당한 파괴력을 지닐 것으로 분석, 이사철 대변인의 성명을 통해 “어제까지도 합당불가와 독자 총선을 운운하던 JP(김 총리), TJ(박태준)가 국민을 속였다”고 주장하는등 ‘경계심’을 내보였다.
또 하순봉 사무총장도 “김 대통령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총선에서 이기는데만 집착하고 있다”며 “하루속히 정파적 이해관계를 떠나 국정에 전념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그러나 한나라당 일각에서는 ‘2여 합당’이 진행되기 어려운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는 분석도 내놓았다.
권익현 부총재는 “김종필 총리가 과연 신당의 총재를 맡을 만한 상징성을 갖고 있느냐에 대해선 신당에 참여한 진보적 영입인사들이 먼저 의구심을 갖게될 것”이라며 “합당은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닐 것”이라고 전망했다./이재규기자 jklee@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