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다중이용시설 위험천만

안양 뉴코아백화점, 오산시외버스터미널, 성남 시민회관 등 다중이 이용하는 공공·민간시설의 기둥·보·슬래브 등 주요 구조부에 균열 및 처짐, 벽체누수현상이 발생하는 등 안전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양 까르프백화점, 평택 뉴코아백화점 등은 이익에 급급해 비상대피통로 및 비상문앞에 매장을 설치, 화재발생시 대형사고가 우려되고 있다.

경기도 안전점검기동반은 지난 9월 6일부터 21일까지 12일간 도내 백화점, 상가 등 판매시설과 종합여객시설, 공연시설 등 471개소에 대해 안점관리실태를 점검한 결과 77.5%인 365개소 706건의 안전에 이상이 적발됐다고 12일 밝혔다.

수원 킴스클럽의 경우 지하 3∼6층 천장 일부에 균열이 발생했고 지하 2층 바닥 슬래브가 처짐현상을 보였으며 성남 한신코아의 경우 지하1·2층 주차장 천절슬래브에 0.2㎜의 균열이 발생했다.

또 안양 뉴코아백화점의 경우 6번 기둥에 균열이 과다하게 발생했고 오산 시외버스터미널은 상가 비상계단하부 철근이 노출됐으며 성남 시민회관은 조적벽에 0.7㎜이상, 구조체에 0.3㎜의 균열이 발생하는 등 건축·구조부의 안전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원 갤러리아백화점과 용인버스공용터미널내 정비공장에서 각각 누전현상이 발견됐고 파주 광탄재래시장도 통로의 지붕밑 조면전선이 불량했으며 양주 문예회관에 변압기 2종접지가 오결선된 것으로 나타나 화재사고 위험이 높은 것으로 지적됐다.

이와함께 부천 삼익3차아파트상가, 용인 희성극장 등은 화재수신반 관리소홀로 작동이 안돼 화재발생시 대피가 늦어져 대형사고가 우려되고 있고 성남 세반쇼핑센터, 이천 터미널, 시흥 산업용재유통상가 등도 소화전의 관리를 소홀히하거나 소화기를 비치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유재명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