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이 침묵하면, 죽음은 반복됩니다.”
인천 동물보호단체가 인천 유기동물 보호소의 운영 실태를 고발하며 유정복 인천시장에 직영 보호소 설립 등을 촉구하고 나섰다.
인천 동물보호단체는 26일 인천시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인천시 유기동물 보호소는 동물의 무덤으로 전락했고, 행정은 그 공범”이라며 “행정의 방관은 동물 학대와 다름없다. 이제는 인천시가 책임져야 할 차례”라고 밝혔다.
이들은 인천시가 수의사회 등 민간에 보호소 운영을 위탁하면서도 관리·감독에 소홀해 대규모 폐사 사태가 반복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집회에 참가한 고수경 ㈔더가치할개 대표는 “보호소 폐사율은 40%가 넘고, 파보 바이러스 감염률은 70%에 이른다”며 “10마리 중 5마리가 죽어나가는 현실이 말이 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고 대표는 수의사 부재, 폭염 노출, 교상 사고, 의료 방치 등 현 유기동물 보호소의 운영 실태를 폭로하며, “건강하게 들어온 개들이 병들어 죽어 나가는게 인천 유기동물 보호소의 현실”이라고 소리쳤다. 이어 “예산이 부족하다는 변명은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며 “지금의 위탁 시스템은 구조가 아닌 방치”라고 말했다.
‘행정의 무책임’도 강하게 질타했다. 고 대표는 “유정복 시장은 직접 보호소를 방문하고도 개선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며 “시장 본인이 ‘아이들을 잘 살리겠다’고 말한 그 자리에서 지금도 동물들이 죽어가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동물 학대를 외면하고 책임지지 않는 시는 시민과의 약속을 저버린 것”이라고 덧붙였다.
끝으로 이들은 “오늘의 외침은 정치도, 경쟁도 아닌 생명과 윤리에 대한 요구”라며 ‘위탁 계약 해지 및 직영 보호소 도입’, ‘보호소 내 수의사 및 책임자에 대한 징계·형사조치’, ‘보호소 폐쇄회로(CC)TV 상시 공개 및 사후 치료 이력 투명화’, ‘시민단체와 전문가가 포함된 감사기구 신설’ 등을 촉구했다.
고 대표는 “인천시가 진정 생명을 존중하는 도시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구조적인 변화가 시급하다”며 “보호소 처우 개선이 이뤄질 때까지 끝까지 싸우겠다”고 강조했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