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06 (일)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경기도 지난해 야생동물 3천552마리 구조...전국 최대

지난해 경기도 야생동울구조관리센터가 구조한 멸종위기종 수달 모습. 경기도 제공.
지난해 경기도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가 구조한 멸종위기종 수달 모습. 경기도 제공

 

경기도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가 지난해 위험에 처한 야생동물 3천552마리를 구조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는 2023년 구조 3천34건 대비 17%(518건) 증가한 것으로 2024년 당초 계획됐던 2천200마리 대비 161.5%p 초과한 것으로 2023년에 이어 2024년에도 전국 최다 구조 건수를 기록했다.

 

구조된 동물은 조류가 2천692마리(75.8%)로 가장 많았고 포유류 847마리(23.8%), 파충류 13마리(0.4%) 순으로 집계됐다. 이 중 황조롱이, 하늘다람쥐 등 천연기념물 15종 470마리와 매·수달 등 멸종위기종 17종 137마리가 포함됐다.

 

야생동물이 구조된 주요 원인은 조류의 경우 어미를 잃은 미아(50%)와 전선·건물과의 충돌(19%)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했다. 포유류는 차량 충돌(25%)과 기생충 감염(23%)이 많았다. 파충류의 경우 인가 침입(69%)으로 안전에 대한 조치 차원에서의 구조가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구조된 동물 중 1천301마리(36.6%)는 치료 및 야생 적응 훈련을 거쳐 자연으로 복귀했으며, 980마리(27.6%)는 폐사, 498마리(14.0%)는 안락사됐다. 치료가 불가능한 상태로 센터에 도착한 동물(폐사체 등) 668마리를 제외한 실질 자연복귀율은 45.1%로 분석됐다.

 

센터 관계자는 “야생동물을 발견했을 때, 새끼가 어미와 잠시 떨어져 있는 상황일 수도 있으며, 동물에게 위험한 상황이라면 사람에게도 위험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며 “즉각적으로 개입하기보다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에 연락해 상황을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