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촉은 궁중이나 상류층에서 사용하고 민간에서는 혼례식에서나 사용하던 귀한 초였고, 소비재였기 때문에 많은 유물이 남아 있지는 않다.
전형적인 화촉은 혼례 등 의식에 쓰일 때는 항상 쌍으로 사용됐다. 그 형태는 길이 30~40cm, 굵기 5cm 전후의 크기로 굴림법으로 만들어 속이 비어 있고, 종이 등으로 심지를 끼워 사용했다. 표면은 모란꽃을 색을 넣어 화려하게 양감 있게 조각했으며, 하단에는 세 줄의 경계선을 두르고 그 사이마다 기하학 문양을 둘러 새겼다. 문화재청 제공
댓글(0)
댓글운영규칙
person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경기일보 뉴스 댓글은 이용자 여러분들의 자유로운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건전한 여론 형성과 원활한 이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사항은 삭제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경기일보 댓글 삭제 기준
1. 기사 내용이나 주제와 무관한 글
2. 특정 기관이나 상품을 광고·홍보하기 위한 글
3. 불량한, 또는 저속한 언어를 사용한 글
4. 타인에 대한 모욕, 비방, 비난 등이 포함된 글
5. 읽는 이로 하여금 수치심, 공포감, 혐오감 등을 느끼게 하는 글
6. 타인을 사칭하거나 아이디 도용, 차용 등 개인정보와 사생활을 침해한 글
위의 내용에 명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불법적인 내용이거나 공익에 반하는 경우,
작성자의 동의없이 선 삭제조치 됩니다.